유용한정보/건강생활정보

뇌 MRI 혹은 CT에서 검은 구멍이 보인다면? 원인과 수두증 가능성

스윗한배기 2025. 4. 15. 21:45
반응형

MRI에서 보이는 뇌의 검은 구멍, 혹시 정상뇌압수두증일까?

건강검진에서 '뇌에 검은색 구멍이 보이네요'라는 말을 들으면 당황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꼭 나쁜 소견은 아니며 정상뇌압수두증(Normal Pressure Hydrocephalus, NPH)과 관련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글쓴이 경우에도 부모님 중 한 분이 넘어지면서 머리를 다치는 경우가 발생한 적이 있습니다. 나이 든 사람일수록 머리를 다치면 큰 위험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바로 머리 CT 사진을 찍어보는 것이 좋은데, 글쓴이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머리를 다친 후에 찍어본 CT상에서 좌뇌, 우뇌에 검은 구멍이 있다며 큰 병원에 가서 MRI 촬영을 해보라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오늘은 뇌 MRI에서 검은 구멍처럼 보이는 구조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것이 어떤 질환과 연관이 있을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뇌 MRI에서 검은 구멍처럼 보이는 구조의 정체

MRI나 CT 영상에서 검은색으로 보이는 부분은 대개 '뇌실(ventricle)'이라는 공간입니다. 뇌실은 '뇌척수액(CSF)'이 순환하는 통로로, 누구에게나 있는 정상 구조입니다. 하지만 뇌실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어 있을 경우, 특정 질환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이 중 대표적인 예가 바로 '정상뇌압수두증(NPH)'입니다.

 

뇌에 검은 구멍이 보인다고해서 모두 걱정할만한 위험은 아니다!

  CT상에서 검은 구멍이 보여 글쓴이의 경우에도 대학병원을 방문하여 CT영상을 가지고 진료를 본 적이 있습니다. 신경과도 방문했고, 신경외과도 모두 방문하여 진료를 받았지만 뇌출혈이나, 뇌진탕과 관련 없다는 소견을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CT상에서 보이는 검은색 구멍은 무엇인지를 여쭤보니, 왼쪽에 있는 구멍은 아무의미가 없는 것이고(크기가 매우 작음), 오른쪽에 있는 검은 구멍은 크기가 크나 뇌출혈과 뇌진탕 혹은 뇌출혈이 지나간 흔적으로는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머리가 계속 아프기때문에 CT 영상 판독을 의뢰했고 결과는 '괜찮다'라는 답변이었습니다.

 CT 영상판독결과와 의료진의 소견 모두 정상범위이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어떤 치료를 할 수 없다, 였습니다. 굳이 의심해보자면 '정상뇌압수두증'을 의심해 볼 순 있지만, 이 증상일 경우에는 평소와 다른 행동이 나오기 때문에 의심해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원래 태어났을 때부터 이렇게 검은 구멍이 있는 채로 태어났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일단 이 증상인 것을 의심해 보려면 주의 깊게 관찰한 후 이상이 있다 느껴지면 바로 병원에 내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상뇌압수두증(NPH)이란?

 정상뇌압수두증은 뇌실이 확장되어 있지만, 뇌압은 정상 수준으로 유지되는 수두증의 한 형태입니다. 주로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발병하며, 조기에 발견하면 치료가 가능한 질환입니다.

 * 대표적인 증상 3가지

  1. 보행 장애
    → 발을 질질 끌거나, 균형을 잘 못 잡고 느리게 걷는 모습
  2. 기억력 저하 및 인지기능 변화
    → 초기에 치매로 오인하기 쉽습니다
  3. 요실금 또는 소변 조절 어려움
    → 자주 소변이 마렵고 참기 어려운 증상

이 세 가지가 함께 나타난다면, 꼭 정상뇌압수두증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진단과 치료 방법은?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뇌 MRI 촬영과 함께, 경우에 따라 뇌척수액 배액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치료가 필요한 경우, VP션트(뇌실복강 단락술)라는 수술을 통해 뇌척수액의 흐름을 조절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많은 환자들이 이 수술 후 보행과 인지 기능의 개선을 경험하기 때문에, 조기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글을 마치며

  • MRI에서 보이는 검은 구멍은 확장된 뇌실일 수 있음
  • CT상에서 보이는 검은 구멍은 정상범위일 경우 별다른 치료가 없음(계속 지켜봐야함, 태어났을 때부터 원래 가지고 있었을 수도 있음)
  • 정상뇌압수두증고령자에게 흔한 질환이며 치료 가능한 희귀 질환
  • 보행 문제, 기억력 저하, 요실금 3가지 증상이 함께 있다면 신경과 진료 권장
  • 조기 진단 시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

마무리

이 블로그는 생활 속 유용한 정보와 취업에 관련된 글을 주로 발행합니다.

방문하시는 분들의 공감버튼 하나가 제 블로그에 큰 힘이 됩니다.

일부 글은 쿠팡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소정의 수수료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방문해 주신 모든 분들 감사드립니다.

반응형